Artigo Acesso aberto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us of Causality of Male Adults Who Stutter

2013; The Korean Academy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Audiology; Volume: 19; Issue: 2 Linguagem: Vietnamita

10.12963/csd.14130

ISSN

2288-1328

Autores

Moonja Shin, Kyungjae Lee,

Tópico(s)

Neurobiology of Language and Bilingualism

Resumo

ë°°ê²½ 및 ëª©ì : 말더듬성인은 의사소통에 대해 ë¶€ì •ì ì¸ ê°ì •ê³¼ 태도를 보일 수 있으며, 주체성은 이러한 ê°ì •ê³¼ 태도의 주요한 지표일 수 있다. 비록 오리진-폰 분석도구가 주체성을 타당하게 ì¸¡ì •í•œë‹¤ê³ ëŠ” 하지만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과 ì¼ë°˜ì ì¸ 오리진과 폰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ì ì€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과 ì¼ë°˜ì ì¸ 오리진과 폰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ì‚´íŽ´ë³´ê³ , 오리진-폰 분석도구와 다른 주체성 ê´€ë ¨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말더듬성인의 ì‹¬ë¦¬ì ì¸ 특성을 ì‚´í”¼ê³ ì˜¤ë¦¬ì§„-폰 분석도구의 타당도를 ì¸¡ì •í•˜ê³ ìž 하였다. 방법: 총 12ëª ì˜ 말더듬성인남성이 의사소통 경험과 가장 í¥ë¯¸ë¡œì› ë˜ 일에 대해 작성한 글을 오리진-폰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ê´€ë ¨ 평가도구인 ì£¼ê´€ì  말더듬 ì„ ë³„ê²€ì‚¬, í–‰ë™í†µì œì†Œ 척도, 말더듬인식조사 등의 결과와 오리진-폰 분석도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ê²°ê³¼: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ê´€ë ¨ 폰 ì ìˆ˜ëŠ” ì¼ë°˜ì ì¸ 폰 ì ìˆ˜ë³´ë‹¤ ìœ ì˜í•˜ê²Œ 높았다. 반면 오리진 ì ìˆ˜ì™€ 오리진-폰 ì ìˆ˜ 비율은 두 상황 사이에서 ìœ ì˜í•œ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의사소통 ê´€ë ¨ 오리진/폰 ì ìˆ˜ëŠ” 다른 주체성 ê´€ë ¨ 도구 결과와 ìœ ì˜í•œ 상관관계를 보였다. ë ¼ì˜ 및 ê²°ë¡ : 본 연구의 결과는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ê´€ë ¨ ë¶€ì •ì ì¸ 태도는 오랜 말더듬경험에 대한 ì •ìƒì ì¸ 반응이라는 ì ì„ 다시 한번 나타내었다. 또한 오리진-폰 분석도구와 다른 도구와의 상관관계는 오리진-폰 분석도구가 한국말더듬성인의 특성을 타당하게 나타낸다는 ì ì„ 시사한다 Keywords: 말더듬, 말더듬성인, 오리진, 폰, 주체성

Referênc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