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ypes of Masculinity Represented in TV and Its Limitations : Focusing on Weekend Variety Programs
2014; Korea Contents Associaition; Volume: 14; Issue: 1 Linguagem: Inglês
10.5392/jkca.2014.14.01.088
ISSN2508-6723
Autores Tópico(s)Asian Culture and Media Studies
Resumo이 연구는 성(gender) 역할과 정체성 역시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전제하에 그동안 가부장제가 지지하는 '지배적인(hegemonic) 남성성', 이상적인 '남성다움(manhood)'을 재현해 왔던 TV가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어떻게 이를 달리 재현하고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시청자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는 주말 예능프로그램 와 에 대한 서사분석(narra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프로그램 모두 전통적으로 여성의 역할로 규정돼온 '육아'와 '가사'를 서사의 중심에 놓고 기존의 권위적이고 엄격한 아버지와 달리 탈권위적이고 감정표현에 익숙한 아버지를 이상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남성들의 '육아'와 '가사'가 일종의 '놀이'로 구현됨으로써 이로 인한 여성들의 억압된 일상과 고통은 배제되는 한계가 드러났다. This study attempts, based on the premise that gender roles and identity is a social construct, to show how TV portrayal of the male has changed through the years with changes in time and society, from the traditional depi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and ideal manhood as support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 nar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popular variety shows "Dad, Where Are We Going?" and "Superman Return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V shows created a new type of masculinity by centering the narrative on the traditionally female roles of child rearing and housekeeping, and recreating the traditional strict and authoritative father figure into a non-authoritative and emotionally expressive father. However, as 'child rearing' and 'housekeeping' is expressed as 'play', there are limitations in that the actual daily lives and hardship of women is excluded from the narrative.
Referênc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