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go Revisado por pares

Gadolinium-enhanced Three-dimensional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Potential Renal Donors for Laparoscopic Donor Nephrectomy: Is it Alternative or Supplementary Tools to Intraarteri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2006; Elsevier BV; Volume: 25; Issue: 2 Linguagem: Coreano

ISSN

2211-9140

Autores

Ja-Yong Park, Jun-Cheol Kim, Hyeon‐Cheol Lee, Ji-Yeong Choe, Seung-Hye Hyeon, Seong-Won Park, Ho‐Sang Bae, Chan-Deok Kim, Seon-Hui Park, Yong-Rim Kim,

Tópico(s)

Advanced MRI Techniques and Applications

Resumo

목적: 신이식 수술 전 혈관 평가에 흔히 사용되는 고식적 디지털 감산 신혈관 조영술 (conventional digital subtraction renal angiography, conventional DSA)은 침습적이고 방사선을 조사하며 신독성을 가지는 요오드 함유 조영제를 사용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dolinium 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gadolinium-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Gd-enhanced MRA)이 신공여자의 이식 수술 전 공여신장 혈관 평가에 있어 기존의 conventional DSA를 대치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2년 9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본원에 입원한 40명의 신공여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Gd-enhanced MRA와 conventional DSA에 대해 중복 신동맥 (double main renal artery), 부동맥 (accessory artery) 및 조기 분지 동맥 (early branching artery)의 개수를 비교하였다. 이 소견들을 수술을 시행하지 못한 2명을 제외한 38명의 이식신 수술 소견과 비교하여 신이식 수술 전 혈관평가에 있어 각 시술간의 일치율 (concordance rate) 및 상관 관계(kappa measure of correlation)를 살펴보았다. 결과: Gd-enhanced MRA와 수술 소견은 38예 중 5예에서 다른 결과를 보여 일치율은 86.8%였고, conventional DSA와 수술 소견도 38예 중 5예에서 다른 결과를 보여 일치율은 86.8%였다. Conventional DSA에서 발견되었던 3개의 부동맥 중 2예는 Gd-enhanced MRA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으나, 이후 결과에 대한 분석 과정에서 두 경우 모두 판독 오류로 확인되었다. 복강경을 이용한 신적출술을 시행하는데 있어 Gd-enhanced MRA에서 보이지 않았던 혈관들은 수술 중 문합되거나, 결찰되었으며 이로 인한 수술 후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Gd-enhanced MRA는 신이식 수술 전 평가 도구로서 비침습적이고, 신독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향후 지속적인 방사선 판독의 향상과 기술적 오류의 교정으로 conventional DSA를 대체할 영상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 같다.

Referênc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