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gamma-ray spectrometers for Quaternary age dating
2019;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ume: 55; Issue: 4 Linguagem: Coreano
10.14770/jgsk.2019.55.4.473
ISSN2288-7377
AutoresHan-Woo Choi, Jin Cheul Kim, P.-H. Lee, Seung Ryeol Lee,
Tópico(s)X-ray Spectroscopy and Fluorescence Analysis
Resumo신생대 제4기 퇴적층의 절대연대 측정은 OSL, SUP14/SUPC, SUP210/SUPPb, SUP137/SUPCs 등의 방법이 있으며, OSL, SUP210/SUPPb, SUP137/SUPCs 연대 측정을 위해서는 감마선 측정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두 종류의 감마선 측정 시스템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SEGe (Standard Electrode Coaxial Ge Detector, 모델명: GC3020) 감마선 검출기는 OSL의 연간선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었으나, 100 keV 이내의 낮은 에너지, 저선량의 감마선 검출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SUP210/SUPPb, SUP137/SUPCs 분석법에 활용이 어려웠다. SUP210/SUPPb, SUP137/SUPCs 연대분석을 위하여 BEGe (Broad Energy Germanium Detector, 모델명: BE6530) 타입의 검출기를 신규로 도입하여 감마선 검출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OSL, SUP210/SUPPb, SUP137/SUPCs 연대측정에 최적의 검출효율과 에너지 분해능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SEGe 검출기의 경우 백그라운드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심하여 일반적인 연간선량 측정에 있어서 5% 정도의 오차를 야기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은 냉각을 위한 액체질소 수위의 변화와 이에 따른 감마선 감쇄 영향의 변화에 의하여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액체질소 통 아래에 5 cm 납 차폐를 두어 백그라운드 변화에 의한 영향을 1.7% 이내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
Referênc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