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troduction of modern pollen analogue methods for reconstruction of paleovegetation and pollen-based quantitative paleotemperature
2020;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ume: 56; Issue: 1 Linguagem: Coreano
10.14770/jgsk.2020.56.1.85
ISSN2288-7377
AutoresDongwook Kim, Sangheon Yi, Eunmi Lee, Chang‐Pyo Jun, Yongmi Kim, Jin Cheul Kim, H.W. Choi, Min Jeong Han, Hyoun Soo Lim,
Tópico(s)Tree-ring climate responses
Resumo이 연구는 남해안 일대(위도 33°00′~35°00′, 경도 125°21′~129°30′)의 지형, 기후 및 식생군락의 특성이 반영된 화분의 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현생화분을 채집하여 현재 분석 중에 있다. 이를 위해 인위적 교란이 적은 8곳의 저수지를 선정하여 저수지 퇴적물과 사면 퇴적물 채집기 및 풍매화 화분 포집기를 각각 설치하였다. 저수지 퇴적물 채집기는 월별 저수지 유역의 지형특성과 식생군락에 따라 현생화분의 이동 메커니즘이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조사할 목적으로 설치하였으며, 사면 퇴적물 채집기는 강우기 동안 저수지를 둘러싼 사면을 따라 저수지에 유입되는 현생화분과 퇴적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풍매화 화분 포집기는 저수지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계절별 풍향, 풍속, 지형에 따라 현생화분의 이동경로 및 거리를 파악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추가적으로 저수지 유역 내 고도(100 m)에 따라 분포하는 식생과 고도별 현생화분 산출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고도별 표층시료를 채집하였다. 이 연구는 2017년 4월 저수지 퇴적물 채집기 설치를 시작으로 2년간의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으며, 설치한 채집기 및 표층시료에서 산출될 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기후환경과 현생화분 산출특성 간의 관계를 더 올바르게 해석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남해안 지역의 고화분 분석 자료를 이용한 고식생 및 정량적 고온도를 복원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ferênci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