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motional expressions on K-beauty by Japanese ―focusing on Hashtag(#) translations used in cosmetics related Social network site by Japanese

2020; Volume: 42; Issue: 2 Linguagem: Inglês

10.33645/cnc.2020.02.42.2.203

ISSN

2950-9750

Autores

Ransook Kang, Akiko Irie, C. Lam,

Resumo

본 연구는 일본의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인스타그램에서 ‘한국의 화장품’과 관련된 SNS의 헤시테그(#) 텍스트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일본 젊은이들의 한류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와 ‘K-뷰티’ 한류문화에 관한 감성언어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일본의 젊은이들이 이용하는 인스타그램의 계정에서 한국 화장품과 관련된 일본어 헤시테그(#) 텍스트들을 연관어와 감정어 키워드들로 추출하여 번역하였고, 이를 ‘TF-IDF’을 이용하여 텍스트의 감성언어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일본의 젊은이들이 한국 화장품에 대하여 나타내는 감성언어들은 ‘귀여움’과 ‘소통’, ‘틴트’, ‘핑크’ 등과 같은 연관어들이 나타났으며, ‘가격’, ‘구매’, ‘색깔’, ‘K-pop’등에 관한 키워드들이 K-뷰티’와 관련된 신조어 유형들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일본의 젊은이들이 SNS 상에서 K-뷰티에 대하여 나타내는 한류문화 소통의 키워드는 ‘작고’, ‘귀여운’ 것들을 선호하는 감성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일본 젊은이들 사이에서 신한류 현상의 하나로 주목되고 있는 ‘한국 화장품’에 관한 ‘K-뷰티’의 감성언어를 일본 현지의 젊은이들이 사용하는 SNS 상의 인스타그램 소통 키워드들을 분석하여 살펴봄으로써 신한류 문화에 관심을 갖는 일본젊은이들의 감성적 선호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빅데이터 방법을 활용한 융합 연구로서 의의를 갖는다.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Japanese peoples’ emotional expressions toward “K-beauty” culture. This was achieved by analyz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regarding their preferences of Korean cosmetics, Hashtags(#) mentioned in related posts on Instagram. Japanese Hashtags, related to Korean cosmetics in young Japanese peoples’ Instagram posts, were extracted as related words and emotional keywords. Further they were translated and analyzed using “TF-IDF”. As a result, cute, “communication, tint, pink etc”. are appeared to be the expressions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Korean cosmetics among young Japanese people.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keywords related to price, purchase, color, and K-pop were used to describe “K-beauty” in the form of new compound word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Korean wave (Hallyu) cultural communication keywords towards regarding “K-beauty” preferred by young Japanese people on SNS’s were “petite, and cute”. This study focused on K-cosmetics, which is a new Korean wave that has recently drawn a lot of attention from young Japanese people. The emotional preferences of young Japanese people toward this new Korean wave were analyzed empirically, by reviewing their emotion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keyword towards “K-beauty” on Instagram, through big data analytics.

Referência(s)